본문 바로가기
728x90

심사정2

산수인물화 (山水人物畵), 인물중심 산수화 산수인물화 (山水人物畵) 인물을 중심에 두고 산수를 배경으로 구성한 산수화.산수화에서 산이나 강, 나무와 돌 등의 자연경관과 함께 이를 향유하고 있는 인물은 자연에 대한 인간의 친화 관계를 나타내고 관자(觀者)의 감정이입을 유도하는 매체로 그려졌으며, 화중인물은 문인 사대부들의 이상형인 일인고사(逸人高士)가 주로 묘사되었다. 따라서, 화면형식에서는 고사인물화(高士人物畫)와 구분이 모호한 경우가 많다. 배경산수의 규모에 따라 소경(小景)산수인물화와 대경(大景)산수인물화로 구분되는데, 우리 나라에서는 소경산수인물화를 많이 그렸다. 산수화의 전개 과정에서 동양 특유의 자연관과 인생관에 바탕을 둔 화중인물의 비중의 증대에 따라 생성된 것으로, 남송(南宋)의 마화파(馬畫派)에 의하여 전통이 확립되었으며, 명대(明.. 2025. 6. 11.
봄 산수화, 서화, 민화 미술에서 봄을 나타내는 소재로 가장 많이 등장하는 것이 매화다. 매화는 눈 속에서 피는 꽃이기 때문에 봄을 알려주는 꽃이라는 뜻에서, 방 안에서 화분의 매화를 바라보는 관매도(觀梅圖)와 매화를 찾아나서는 심매도(尋梅圖) · 탐매도(探梅圖) 등이 많이 그려졌다.신잠(申潛, 1491-1554)은 시, 글씨, 그림에 모두 뛰어난 조선 전기 사대부 화가로 신숙주(申叔舟)의 증손자이다. 자는 원량(元亮), 호는 영천자(靈川子), 아차산인(峨嵯山人)이다. 기묘사화(己卯士禍)와 신사무옥(辛巳誣獄)으로 벼슬에서 물러난 이후 20여 년 동안 아차산 아래에 은거하며 그림에만 몰두하였다. 수묵으로 그린 대나무, 산수, 인물, 포도도 잘 그렸다고 한다. 이 작품은 매화를 찾아가는 선비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가로로 진행되는 .. 2025. 1. 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