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해도4

민화 속 바다 생물(어해도) 거북이 물고기 골뚜기 오징어 게 소라 ... 어해도에 대해 전에 한번 올렸었는데, 다양한 민화 그림을 위해 다시 한번 언급 뒤 올려본다.어해도(魚蟹圖)어해도는 단일 종류의 물고기인 쏘가리, 잉어가 바닷속에서 유영하는 모습을 게, 새우 등 바다 생물과 함께 그린 유형이 있고, 수많은 물고기가 유영하는 모습을 그린 유형도 있다.송대 어도, 해도, 어해도가 별도로 존재했던 것과 달리 고려시대와 조선 전‧중기까지 어해도는 정립되지 않았고 어도와 해도가 별도로 그려졌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던 것이 18세기 이후에 물고기와 게가 함께 등장하는 어해도가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또한 이 시기는 대량의 물고기와 게를 그리기 위해 족자, 화첩뿐 아니라 병풍으로 많이 제작되었는데 8폭, 10폭이 일반적이었다. 이들 작품은 모두 치밀한 사생을 바탕으로 사실적으로 표현되었.. 2024. 12. 11.
민화 속 잉어도 어해도에 속하는 잉어도는 물고기가 변해서 용이된다는 뜻이 담겨있어 등용문(登龍門)으로 통합니다. 즉 세상으로 나아가 큰 뜻을 펼친다는 의미입니다.어변성룡도(漁變成龍圖)는 잉어가 급류를 타고 뛰어오르는 장면을 표현한 것으로 이때 하늘로 오르는데 성공한 잉어는 용이 된다는 전설이 소재가 된 것이다. 이는 곧 경쟁을 물리치고 과거에 급제하여 나라에 충성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되어 주로 과거시험을 앞둔 수험생의 방에 걸었다. 삼어도 그림 https://sosohangeunal.tistory.com/14 삼어도(삼여도, 어해도)그리기삼어도(三魚圖) 물고기 세 마리가 등장해서 삼어도 삼여도(三餘圖) 중국에서 물고기 어 "魚"와 남을 여 "餘" 읽는 소리가 비슷하여 삼여도라고 하며, 삼여도에는 세 가지 여유란 뜻도.. 2024. 11. 20.
민화 속 물고기 그림 어해도, 어락도 어해도 (魚蟹圖) , 어락도(漁樂圖)라고도 함 어해도의 ‘어해(魚蟹)’라는 용어는 7세기 중국의 역사서인 "북사"에 처음 등장하였다. 그러나 어해도라는 용어는 송대 "선화화보(宣和畵譜)"(1120년 편찬)에 3세기 화가 원의(袁嶬)의 어해도가 황실에 보관되어 있다는 기록이 처음이다. 이를 통해 송대에 어해도라는 장르가 이미 확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송대에는 쏘가리, 잉어를 그린 궐어도(鱖魚圖), 이어도(鯉魚圖) 등 어도(魚圖)와, 게를 수생 식물과 함께 그린 해도(蟹圖)가 전해져 어해도는 이들과는 다른 개념으로 사용되었을 것이라 유추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려시대 "동문선"에 공민왕의 잉어를 그린 그림인 "이어도"에 대한 찬문이 있어 고려시대에도 어해도라는 장르 개념이 없었으며, 조선 중기까지는 관련 .. 2023. 11. 14.
삼어도(삼여도, 어해도)그리기 삼어도(三魚圖) 물고기 세 마리가 등장해서 삼어도 삼여도(三餘圖) 중국에서 물고기 어 "魚"와 남을 여 "餘" 읽는 소리가 비슷하여 삼여도라고 하며, 삼여도에는 세 가지 여유란 뜻도 포함되어 있다. 그 세 가지 여유는 바로 책을 읽기 적당한 한가한 때를 뜻하는데 겨울, 밤, 비가 올 때를 뜻한다. 어해도(魚蟹圖) 물고기나 물속에서 사는 동물을 그린 그림을 말한다. 삼어도를 한지에 그렸다. 뭔가 부족한거 같은데... 민화 4번째 : 한지에 그린 삼어도(三魚圖) 2023. 11. 1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