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십장생도2 사슴도(영모도, 장생도) 사슴은 장수를 상징하는 동물이고, 불멸의 신성한 순간을 포착해낼 수 있는 유일한 동물로 여겨왔다. 종종 관리들의 벼슬을 상징하는데, 그 이유는 사슴 녹(鹿)자와 벼슬 녹(祿)자는 같은 음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불행과 질병을 막아주는 동물로 여겨져 왔다.동양에서는 영원히 죽지 않거나 오래 산다고 여기는 열 가지 자연물, 즉 해·산·물·돌·구름·소나무·불로초·거북·학·사슴을 ‘십장생’이라고 한다. 이 사물들을 모두 등장시켜 진한 채색으로 그린 규모가 큰 병풍을 궁중에서 장식화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 그림은 십장생을 모두 그리지 않고 장수와 복록의 상징인 소나무와 바위를 배경으로 한 쌍의 학과 사슴만을 그린 장생도(長生圖)이다. 두 마리의 학이 서로 마주보며 입을 벌리고 있는데, 마치 다정하게.. 2025. 2. 13. 민화 속 십장생도 십장생도 (十長生圖) 불로장생을 기원하며 이를 상징하는 상징물을 소재로 그린 그림이다. 아래 10첩 병풍(창덕6446)은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소재들을 유기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복잡하고 산만해 보일 수도 있는 화면을 조화롭고 통일감 있게 구성해 낸 궁중화원들의 뛰어난 솜씨를 확인할 수 있다. 진하고 화려하면서도 무게감 있는 색채를 사용하여 왕실 회화다운 호화로움과 격조를 갖추었고, 왕실 가족의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궁중 행사 때 왕비나 왕세자의 자리 뒤쪽에 설치하였으며 왕실 혼례나 회갑연 등 경사스러운 잔치에도 사용하였다. 그림에 나타난 장생물(長生物)의 숫자가 유동적이어서 그냥 장생도라고도 부른다. 또 대상 중 한 가지만을 강조하여 그리는 경우에는 군학십장생도(群鶴十長生圖), 군록십장생도(群鹿十長生圖).. 2023. 11. 15.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