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화에 대한 모든것

민화 속 산신도 I

by 소소한그날 2023. 12. 1.
728x90

산신도, 시대미상, 작가미상, 섬유 면 /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산신은 산왕(山王), 산령(山靈), 산군(山君)이라고도 하며, 일찍부터 민간신앙의 대상이 되었다. 불교에 산신 신앙이 편입되면서 의식집인 『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軌)』(1573)를 비롯한 불교 문헌에 16세기부터 꾸준히 산신에 대한 기록들이 보인다. 

 

산신도는 주로 사찰 내 삼성각에 치성광여래도(熾盛光如來圖)·독성도(獨聖圖)와 함께 봉안되거나 산신각에 단독으로 봉안되었다. 산신은 자식을 점지해 주고 길흉화복을 관장하는 것으로 여겨져 많은 사람들이 신앙하였으며, 그로 인해 조선 후기 이후 대부분의 사찰에 산신상과 함께 산신도가 모셔졌다.

 

현재 제작 연대가 확실한 이른 시기의 작품으로 18세기 말과 19세기 전반의 산신도들이 남아 있다. 경상남도 함양 용추사 〈산신도〉(1788), 경상북도 영천 은해사 박물관 소장 〈산신도〉(1817), 경북 의성 고운사 〈산신도〉(1820), 경남 합천 해인사 〈산신도〉(1831)가 대표적이다. 산신도의 도상은 대체로 깊은 산과 골짜기를 배경으로 마치 신선과도 같이 수염이 길고 백발인 노인형의 인자한 산신이 호랑이에 기대 앉아 있고, 간혹 시자(侍者)들이 차를 달이거나 공양물을 들고 함께 등장하기도 한다. 드물게 호랑이를 타고 있는 산신을 표현한 경우도 있다. 이 밖에도 사례가 많지는 않지만 여성형, 호랑이를 대동하지 않은 제왕형이나 투구를 쓰고 무장을 한 신장형, 그리고 문인관료 혹은 학자형, 승려형, 그리고 남녀가 함께 등장하는 부부형의 산신도도 종종 제작되었다.

대부분의 산신도에 산신과 함께 주요하게 등장하는 호랑이는 산신의 사자나 화신격의 의미를 지닌다. 백수의 왕인 호랑이는 산신도에서는 마치 고양이처럼 귀엽고 장난스런 표정으로 그려지는데, 민간 화풍으로 그려진 까치호랑이 그림의 호랑이를 연상시킨다. 20세기 이후에는 일본 호랑이 그림의 영향을 받아 이빨을 드러내고 포효하는 무서운 모습의 호랑이로 변모하기도 하였다.

산신은 주로 붉은색 옷을 입고 머리는 상투를 틀거나 민머리이며, 원유관 혹은 통천관을 쓰거나 치포관(緇布冠 : 상투에 씌우는 작은 관) 위에 투명한 탕건을 쓰는 등 다양한 형태의 관모를 썼다. 손에는 대개 깃털부채, 파초선, 불로초, 불자(拂子 :  짐승의 털이나 마 등을 묶어 자루 끝에 매단 것으로 주로 설법할 때 손에 드는 지물)를 들고 있으며, 대동하는 시자들 역시 공양물로 복숭아·유자·석류·모란꽃 등 길상의 의미를 지닌 것들을 들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산신의 성격을 명확히 드러내는 상징물의 역할을 한다.

배경은 이상적인 산수를 표현하여 소나무괴석ㆍ폭포ㆍ불로초 등이 그려졌며, 후대로 갈수록 사슴ㆍ학ㆍ대나무 등 십장생도의 모티프들이나 책거리 그림에서 볼 수 있는 기물 같은 모티프들이 추가되는 경우도 있다. 채색은 주로 진채로 그려지며, 산수는 청록산수로 표현된다.

산신도 중 가장 이른 예는 18세기 후반의 작품이며, 현전하는 산신도의 대부분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전반에 제작된 것들이다. 산신도는 알려진 작품만 150점 이상으로 여타 불화들에 비해 많은 수가 남아 있어 19세기 이후 제작이 성행했음을 알 수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산신도, 작가미상, 광복이후 / 출처 : 국립한글박물관

 

산신과 호랑이를 그린 회화이며, 비단에 채색, 산신은 소나무 아래 호랑이와 같이 그려져 있다. 배경은 생략되어 있으며, 주요 도상들만 부각되어 그려져 있다. 그림 좌측에 소나무가 그려져 있고, 산신과 호랑이는 중앙에 자리하고 있다. 산신은 둥근 얼굴에 입술은 붉은 색이며, 흰 수염과 흰 눈썹이 표현되어 있음. 머리에는 상투관을 썼으며, 오른손은 주미라고 불리는 털부채(녹미선, 麈尾扇)을 쥐고 있다. 적색의 대의(大衣)를 입고 있으며, 대의 끝자락은 흑색으로 표현했으며, 소매 안쪽에 청색 옷자락이 보인다. 백색의 복대(腹帶), 백색의 바지를 입고 있고, 호랑이는 신선의 등을 감고 있으며, 좌측에 머리가 우측에 꼬리가 있다. 꼬리는 곡선을 그리며, 끝이 그림 상단 우측을 향해 솟아있다. 그림 상단 좌측 소나무 밑에 묵서로 “만덕고승산왕대신지위”라고 한글로 묵서되어 있다.

 

여산신도, 광복이후 / 출처: 인삼박물관

 

산신이 산삼을 들고 호랑이의 호위를 받고 있는 그림으로 구복신앙의 단면을 볼 수 있다.

구복신앙 : 복을 구하는 신앙

 

산신도, 시대미상, 작가미상 / 출처 : 국립중앙박물관(고 이건희회장 기증품)

 

산신도, 조선시대 / 출처 : 국립중앙박물관

 

산신도는 토착적인 산신 신앙이 불교와 결합하면서 사찰 내에 모셔지게 되었다. 본래 불교에서도 불법을 수호하는 여러 신중神衆 가운데 하나로서 주산신主山神이 있으나, 대부분의 산신도는 민간신앙적인 산신의 모습을 더욱 강하게 반영한다. 이 산신도 역시 험준한 산을 배경으로 신령한 분위기의 노인이 산의 영물인 호랑이를 거느리고 있는 전형적인 민간 신앙 속 산신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산신은 깊은 산 속에서 소나무 아래 바위에 앉아 있으며, 배경이 단순화되고 산신은 크게 그려져 부각되었다. 산신 곁에는 시중드는 동자가 있고, 산신이 거느린 호랑이는 민화풍으로 그려졌다.

 

산신도, 조선시대, 견 / 출처 : 국립중앙박물관

 

산신도(산신탱), 조선시대, 섬유 견 / 출처 : 국립중앙박물관

728x90

'민화에 대한 모든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화 속 용왕도  (2) 2023.12.11
민화 속 산신도 II  (1) 2023.12.04
민화 속 신선도  (3) 2023.11.21
민화 속 장생도  (1) 2023.11.16
민화 속 십장생도  (0) 2023.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