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5

모란도(牡丹圖)_모란꽃 그리기 모란도 (牡丹圖) 화조화와 장식화의 소재로 애호된 모란꽃 모란은 고대부터 화조화와 장식화의 소재로 애호되었다. 문헌기록에 따르면 모란도는 삼국시대부터 그려진 것으로 보이나 현재 전하는 작품은 대부분 조선시대에 제작된 것이다. 조선 초 · 중기 다른 소재들과 함께 화조화의 일부로 묘사되던 모란은, 조선 말기로 갈수록 부귀영화의 상징성에 기복성(祈福性)주1이 더해지면서 단독으로 그려졌다. 특히, 조선시대 궁중행사와 국가의례에서 모란도 병풍은 국가와 왕실의 위의를 보여 주는 그림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국상(國喪) 등의 흉례 및 관례, 가례, 길례를 비롯하여 혼전과 어진 봉안처에도 배설되는 등 왕을 상징하는 자리에 널리 사용됐다. 이후 민간에서도 궁중의 모란도 병풍을 모방한 작품이 다량 제작되었다. 내용출처.. 2024. 2. 13.
모란도(牡丹圖) 모란도 (牡丹圖) 화조화와 장식화의 소재로 애호된 모란꽃을 그린 그림. 모란(牡丹)은 꽃이 크고 그 색이 화려하여 동양에서는 고대부터 꽃 중의 왕으로 임금을 상징하며, 부귀화(富貴花) 등의 별칭으로 알려져 왔다. 조선시대 그림 속 모란은 새와 풀, 모란이 함께 어우러지는 형식으로 나타난다. 조선 초?중기에 자주 그려졌던 이러한 전통은 조선 말기까지 이어진다. 조선 후기에는 모란의 비중이 커지고 풍성함이 강조되며, ‘채색모란도’와 먹으로만 그린 ‘묵모란도’로 다채롭게 그려진다. 조선 말기에는 모란만 단독으로 그려지는 모란도가 유행했다. 모란 병풍은 조선시대 왕실에서의 종묘제례, 가례(嘉禮, 왕실의 혼례), 제례(祭禮) 등의 주요 궁중 의례와 행사 때 사용되었다. 10폭에 이르는 대형 화면에 연속적으로 펼쳐.. 2024. 2. 9.
민화 속 산수화 산수화는 8폭병풍 그림이 많이 남아 있다. 일반 회화의 산수화와 달리 민화에서는 대개 채색을 많이 사용하고 얽매임 없는 자유로운 필법으로 정감을 담아내고 있다. 산수화 중에서도 화제로 많이 사용된 것은 금강산도·관동팔경도·관서팔경도·고산구곡도·화양구곡도·제주도 등이다. 부여팔경도 8폭 병풍(扶餘八景圖八幅屛風) 부여의 명승지 8곳을 그린 8폭 병풍. 현암 정성원(玄菴 鄭成源, 1881~1962) 작(作). 상단부에는 지명과 제발(題跋), '玄菴'이 묵서되고, 주문방인과 백문방인이 찍혀 있음. 관동팔경도 8폭 병풍(關東八景圖八幅屛風) 관동팔경 네 곳과 화조도 4폭이 그려진 8폭 병풍. 지본담채(紙本淡彩) 제1·2·7·8폭에는 월송정(月松亭), 죽서루(竹西樓), 경포대(鏡浦臺), 삼일포(三日浦), 제3~6폭에.. 2024. 1. 29.
민화 속 십이지신(十二支神) 십이지신 (十二支神) 12방위에 따라 다른 동물 얼굴과 사람 몸을 취하는 12종류의 신(神). 십이신장(十二神將) 또는 십이신왕(十二神王)이라고도 한다. 『약사경(藥師經)』을 외우는 불교인을 지키는 신장(神將)이다. 이들은 열두 방위(方位)에 맞추어서 호랑이·토끼·용·뱀·말·양·원숭이·닭·개·돼지·쥐·소 등의 얼굴 모습을 가지며 몸은 사람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도교(道敎)의 방위신앙에서 강한 영향을 입은 것으로 보인다. 십이지신 탁본(十二支神像拓) 위 그림 신라 제35대 경덕왕(景德王, ?~765)의 능(陵) 하부에 조각된 십이지신상(十二支神像) 탁본으로 제작된 12폭 병풍. 선시탁(蟬翅拓). 화폭(세로 105, 가로 55). 머리는 동물의 형상을 하고, 몸은 사람의 형상(獸面人身)인 십이지신이 그려짐... 2024. 1. 22.
맹호도(호랑이)_Tigers in Folktales 민화속 호랑이 글을 올리면서 조선시대 맹호도 그림을 찾아서 올렸었다. 어떤분이 그렸는지 알수 없지만, 훌륭한 그림이어서 나도 따라 그려봤다. 아래 링크는 민화속 호랑 Tigers in Folktales라는 제목으로 올린 글에 호랑이 원본이 있어서 링크걸었고, 호랑이에 대한 글도 읽을 수 있다. 민화 속 호랑이_Tigers in Folktales 호랑이는 민화의 분류에서 무속 · 도교적 민화에 속한다. 민화의 대한 모든 것 > 민화의 종류_Kind of Folktales에 설명해 두었다. https://sosohangeunal.tistory.com/7 오래전 대한민국은 국토의 70%가 산으로 sosohangeunal.tistory.com 원본에 비하면 나의 그림은 어설프지만, 아직 입문이니까...다음엔 더.. 2024. 1. 15.
민화 속 문자도 문자도 (文字圖) 민화 가운데 글자의 의미와 관계있는 고사 등의 내용을 한자 획 속에 그려 넣어 서체를 구성한 그림, 그림글씨, 꽃글씨, 서화도가 있다. 그림글씨, 꽃글씨, 서화도(書畵圖) 등으로 불려지기도 한다. 우리나라 문자도는 중국 문자도의 수용과 국내의 수공예품의 도안으로 나타난 글자의 영향을 받아 민화의 한 유형으로 발전하였다. 상징적 소재에 따라 크게 ‘효제충신 예의염치(孝悌忠信 禮儀廉恥)’, ‘수복강령 부귀다남(壽福康寧 富貴多男)’, ‘효자충신 인의예지(孝子忠臣 仁義禮智)’, ‘붕우유신 원형이정(朋友有信 元亨利貞)’ 등의 유교적 교훈의 내용을 가진 문자도와 ‘백수백복 만수무강(百壽百福 萬壽無疆)’, ‘길상(吉祥)’, ‘희(囍)’, ‘용호(龍虎)’, ‘귀(龜)’, ‘성(星)’, ‘심(心)’, .. 2024. 1. 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