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민화, 서화에 대한 모든것64

민화 속 무속, 도교 관련 신들 천제로부터 칠성·별성·오방신장 등 한국의 무속과 깊은 관련이 있는 신들, 도교의 수많은 신들, 공민왕·태조·최영·임경업 등 한국의 군왕·장군과 그 부인들은 민화의 소재로 자주 다루어졌다. 그리고 중국의 관우는 그 충의로 인하여 한국에서도 널리 숭앙되었다. 아울러 부부 화락을 비는 상사위, 도련님·무당·창부·마부·호구아씨 등 잡신상도 있다. 이밖에 점쟁이들이 사용하는 당사주책에도 소박한 민화풍의 그림들이 있다. 창부는 예능신인 듯하나, 흔히 굿에서는 액을 막아주는 신으로 섬겨진다. 병을 일으키는 역신으로는 천연두를 앓게 하는 호구신(戶口神)이 대표적이다. 칠성 칠성은 비 또는 인간의 수명과 재물을 관장한다는 신이다. 별을 신앙의 대상으로 하는 것은 인류의 보편적인 현상이다. 칠성신앙은 도교에서 북두칠성을 .. 2023. 12. 18.
민화 속 용왕도 용왕은 용을 신격화한 말이다. 용은 상상의 동물로, 기린·봉황·거북과 함께 4대 영물 중 하나이다. 동서양 모두 뱀을 원형으로 하여 다른 동물을 혼합시킨 모습이다. 용왕은 용신·용왕할머니·수신이라고도 하며, 특히 비를 내리게 한다고 하여 예로부터 민간신앙으로 자리잡았다. 음력 6월 15일에 지내는 용신제나 용왕굿은 대표적인 민간신앙이다. 불교에 수용되면서 법을 수호하는 천룡팔부(天龍八部)의 하나가 되었다. 인도에는 용을 천궁을 수호하는 용, 비를 부르는 용, 지룡(地龍)과 회륜전왕(回輪轉王)의 대복팔장(大福八藏)을 관장하는 용으로 분류한다. 불교 경전에 등장하는 용은 선악 양면을 보여주는데, 선룡은 모두 팔용으로 난타·발난타·사가라·화수길·덕차가·아나바달다·마나사·우발라이다. 이들은 불법을 수호하고 비를.. 2023. 12. 11.
민화 속 산신도 II 산신의 사자인 백호를 달래듯 차분하고 군더더기 없는 깔끔한 색깔의 산신세계를 잘 알고 있는 금어스님의 작품이다. 멀리 삼신산에서부터 흘러내리는 폭포는 삼단으로 굽어져 흘러내렸고 크고 무성한 고송 아래 여백을 크게 두어 영지를 손에 쥔 산신령이 반가부좌 한 채 다소곳이 앉아 있다. 유난히 넓은 이마에 강렬한 눈썹과 정면을 응시한 눈빛, 검고 긴 장수의 수염이 당찬 힘을 발휘하실 것 같다. 붉은 도포 자락 가운데 가슴 부분의 청색 비단에 새겨진 국화가 선명하며 추켜세운 다리 위쪽에는 흰 비단옷이 보인다. 호랑이와 산삼의 앞 쪽 공간을 깨끗하게 비워 둠으로써 무한한 공간 속에 살고 있는 신세계를 상상할 수 있도록 처리된 이 그림은 산신도 가운데 수작으로 꼽힌다. 금어스님에 대해 알려면 go~ https://s.. 2023. 12. 4.
민화 속 산신도 I 산신은 산왕(山王), 산령(山靈), 산군(山君)이라고도 하며, 일찍부터 민간신앙의 대상이 되었다. 불교에 산신 신앙이 편입되면서 의식집인 『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軌)』(1573)를 비롯한 불교 문헌에 16세기부터 꾸준히 산신에 대한 기록들이 보인다. 산신도는 주로 사찰 내 삼성각에 치성광여래도(熾盛光如來圖)·독성도(獨聖圖)와 함께 봉안되거나 산신각에 단독으로 봉안되었다. 산신은 자식을 점지해 주고 길흉화복을 관장하는 것으로 여겨져 많은 사람들이 신앙하였으며, 그로 인해 조선 후기 이후 대부분의 사찰에 산신상과 함께 산신도가 모셔졌다. 현재 제작 연대가 확실한 이른 시기의 작품으로 18세기 말과 19세기 전반의 산신도들이 남아 있다. 경상남도 함양 용추사 〈산신도〉(1788), 경상북.. 2023. 12. 1.
민화 속 신선도 신선들의 모습과 그 설화를 묘사한 도석인물화다. 유 · 불 · 선 가운데 선교(仙敎), 즉 도교의 신선사상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발전되었고, 장수무병(長壽無病)한 생에 대한 애착, 현세 기복적(現世祈福的)인 염원과 밀착되어 성행하여 축수(祝壽), 축복(祝福)용(祝壽祝福用)으로 많이 그렸다. 여러 신선전에 등장하는 신선들은 500여 명이 넘는다. 그중에서도 그림의 소재로 많이 다루어졌던 대표적인 신선은 종리권(鍾離權) · 여동빈(呂洞賓) · 장과로(張果老) · 한상자(韓湘子) · 이철괴(李鐵拐) · 조국구(曹國舅) · 남채화(藍采和) · 하선고(何仙姑) 등의 8선이다. 그리고 노자(老子) · 황초평(黃初平) · 마고선녀(麻姑仙女) · 하마선인(蝦蟆仙人) · 동방삭(東方朔) · 서왕모(西王母) · 장지화(.. 2023. 11. 21.
민화 속 장생도 십장생도를 알아보면서 십장생중에서 한 가지만을 강조하여 그리는 경우와 두세 가지만 그리는 경우가 있음을 알아보았다. 이번에는 강조한 장생도를 알아보려고 한다. 조선시대 궁중에서는 장수를 기원하는 염원을 담은 장생도의 제작이 활발하였다. 영원한 생명력을 가진 자연물이나 오래 사는 생물인 해, 달, 산, 물, 구름, 소나무, 대나무, 영지, 사슴, 학, 거북이, 복숭아나무 등이 장생도에서 즐겨 사용되는 소재이며, 그중에서 열 가지 정도의 소재로 구성된 십장생도(十長生圖)가 가장 잘 알려져 있지만 그 외에도 한두 가지 소재를 부각시킨 장생도도 널리 그려졌다. 사슴이 위주로 구성된 군록장생도(群鹿長生圖)나 백록도(百鹿圖), 학이 위주가 된 군학장생도(群鶴長生圖)나 백학도(百鶴圖), 그리고 복숭아나무를 중심으로 .. 2023. 11. 16.
728x90